다이어트와 단식 다이어트 : 장단점과 주의사항 알아보기
알렉시산토인, 처출 Unsplash

단식은 일반적으로 물 이외의 음식을 먹지 않는 행위입니다. 의학적으로는 일정 기간 동안 자발적으로 음식물 섭취를 중단함으로써 신체기관에 휴식을 주고 스스로 회복시키는 과정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사실 우리 몸은 공복 상태에서도 지방 분해 등 생존을 위한 대사 활동을 지속하기 때문에 굶는다고 무조건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과도한 영양 공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juhg, 출처 Unsplash

그러나 단식 후의 폭식은 괜찮은 것일까요? 굶으면 배고픔을 느끼게 되고 결국은 참지 못하고 폭식을 하게 됩니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서 간헐적 단식이라는 방법이 등장을 했습니다. 간헐적 단식은 하루 24시간 중 8시간 식사를 하고 16시간 공복 상태를 유지하는 식이요법입니다. 예를 들어 저녁 7시에 마지막 식사를 했다면 다음날 아침 11시까지는 아무것도 먹지 않고 그 후 점심을 먹습니다. 이것을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위가 줄어들고 소식 습관을 들일 수 있다고 합니다.
히키아후, 출처 앤 스플래시

하지만 공복 시에 주의해야 할 점도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이라면 며칠간의 절식 또는 한 끼 정도의 단식만으로도 큰 무리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장기 청소년이나 임산부, 노인과 같이 에너지 소비량이 많거나 소화기능이 약한 경우에는 장기간의 금식은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나 섭식장애인, 간질환자, 신장질환자, 고혈압 환자 등 만성질환자는 반드시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진행해야 하며, 충분한 수분 공급 및 영양소 공급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znkrt, 출처 언플래시

단식 다이어트에는 빠른 감량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부작용도 많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건강을 위해 올바른 방법으로 다이어트를 시도해 보세요.
srz,출처Unsplash

srz,출처Unsplash